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건축업체와 계약시 체크사항 (건축시 알아야 할 사항)

by 당신이 궁금한 모든 것 2021. 6. 2.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서는 건축설계비용과 허가도면, 시공도면에 대한 차이를 포스팅했었습니다. 지난 포스팅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eyeoflove.tistory.com/16)

 

건축설계도면은 비용이 얼마인가요? (건축 전 알아야 할 사항)

안녕하세요. 귀농이나 귀촌을 준비하시거나, 토지를 매입해서 집을 지을 계획이신 분들에게 참고가 될 만한 내용을 준비해봤습니다. 건축설계비용과 해당 건축설계도면으로 집을 지을시 문제

eyeoflove.tistory.com

 

 

오늘은 저번 포스팅에서 쓰기로 한 내용인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또, 건축업체와 계약시 도움이되는 체크리스트도 준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예비건축주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사항      

 

 

자 우선,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둬야 할 사항같은 게 뭐가 중요할까요? 그런거 몰라도 어차피 건축업체가 알아서 제대로 지어줄껀데 머리아프게 뭘더 알아보고 해야할까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으신가요?

 

네, 대부분 건축을 하시는 분들이 이렇게 접근을 할겁니다. 그리고 이렇게 접근을 한 대다수는 완성된 건축물에 만족을 표할것입니다. 그러나 건축을 하면 10년이 더 늙는다는 말이 있듯이 일부 건축주들은 건축과정 내내 건축업체와 갈등을 빚고, 스트레스를 받으며 완성된 건축물에 불만을 갖기도 합니다.

 

모든 걸 알아서 할테니 걱정말라고 건축업체가 계약시 얘기했건만 정작 공사중에는 추가비용이 필요하며 공사를 중단하거나, 건축주의 요구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집을 지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만에 하나라도, 내가 이렇게 공사하는 업체와 계약을 하게 된다면 낭패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 지인이 소개해준 업체를 맹신하지 말자.

 귀농등의 이유로 집을 짓고 농사를 지을 땅을 샀다고 지인들에게 이야기를 하면 높은 확률로 지인들은 '내가 잘 아는 건축업체가 있다'고 견적을 받아보라고 얘기를 합니다. 견적을 받아보는 것은 나쁘지 않습니다. 오히려 견적은 여러군데에서 비교를 해보고 합리적으로 계약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지인의 소개로 견적을 받게 된 업체와 계약을 하지 않으면 지인의 입장이 난처해진다거나 괜히 미안한 마음이 들어서 계약을 해줘야 될거같다는 생각을 하면 안된다는 말입니다. 일단 견적을 받아보고 타업체와 충분히 비교를 해본 후 나에게 더 이득이 있는 업체와 계약을 해야 합니다. 우리가 지인 업체에게 돈을 기부하기위해 건축을 하는 게 아니잖습니까!

 

 

둘째, 도면에 자재등을 알아보고 상세히 적는다.

 건축설계를 마치면 도면이 나오고 그 도면을 갖고 건축해줄 업체를 찾아서 계약을 하게됩니다. 도면이 나오면 건축업체를 찾기전에 건축자재를 인터넷에서 찾아봐야 합니다. 그래야 대략적으로나마 건축자재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 찾냐면 유통물가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https://www.koris.or.kr/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유통물가 사이트 내 매뉴에 '유통물가'라는 탭에 커서를 놓으면 건축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건축항목에 세부적으로 항목이 또 나뉘어져있고 (창호재, 타일, 유리, 보온단열재 등등), 항목을 클릭하면 판매하는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모든 회사마다 가격도 다르고 디자인등도 다 다르니 여러 회사에 들어가서 가격도 비교하면서 체크하시고, 마음에 드는 걸 찾습니다.

 

그런 다음 설계도면에 찾은 자재들을 기재합니다. 창호는 어디껄로 쓸거며, 벽지 색은 어떤걸로 하겠다 등등 상세하게 기재하며, 다른 사람들도 알아볼 수 있도록 바른 글씨와, 적당한 크기로 써줍니다. 도면에 자재를 적었으면 이젠 건축업체와 이야기를 하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도면을 반드시 계약서에 첨부해야 합니다.

 

 

셋째, 세부견적서를 받는다.

 위에서 작성한 도면을 가지고 건축업체와 이야기를 나누며 견적을 받습니다. 건축업체에게 견적을 받을 때는 수량산출서를 받아야 합니다. 수량산출서는 '공사에 사용되는 제품별로 수량을 산출하는 문서'라고 네이버 지식백과에 나와있습니다. 이게 왜 필요하냐면 집을 지을때 어떤 자재들이 필요하고, 그 자재들이 얼만큼 필요한지를 알아야 재료비가 얼마나 들어가는지 알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수량산출서와 함께 인건비는 얼마다, 공정별 드는 금액은 얼마다라는 내용이 포함되도록 세부견적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공사업체에서 세부견적서는 안준다고하면서 '평당 얼마들어요'라고 뭉퉁거려서 말한다면 세부견적을 받는 거보다 추가 공사비가 나갈 확률이 높습니다.

 

 

넷째, 건축업체가 공사중인 집과 공사를 마친 집에 방문해본다.

 건축업체와 계약을 하기 전에 필수 코스로 해당 건축업체가 공사를 마친 집과 공사중인 현장을 방문해봐야 합니다. 만일 건축업체가 이렇게 못하게 한다면 '뭔가 문제가 있으니 그렇지 않을까'라는 의심을 누구나 할 것 아닙니까?

 

공사가 끝난 집에 가서는 하자가 없는지, 문제가 없는지 물어보고 집주인에게 동의를 받고 집을 둘러보면서 마감은 어떤지 등을 확인 해보세요. 그리고 공사중인 현장에도 가봐서 현장 기술자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도 한번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일부 건축업체는 건축계약만 하고 일은 다른 곳으로 하청을 주는 경우도 있어서 매번 일을 하는 기술자들도 다르고 그에따른 집에 품질도 기술자의 실력에 좌우되는 일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사항들이였습니다. 이제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건축업체와 계약시 주의할 사항에 대해 알아보시죠.

 

 

 

건축업체와 계약시 도움이 되는 체크리스트

 

□ 1. 도면에 가구위치를 표시했나요?

□ 2. 사용할 자재와 색상을 도면에 표기했나요?

□ 3. 세부견적을 받기로 했나요?

□ 4. 건축업체가 지은 집과 짓는 중인 집에 방문하기로 했나요?

□ 5. 건축계약까지 기간을 넉넉하게 잡았나요?

 

이 중 하나라도 체크가 되지 않았다면 계약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왜그런지 볼까요?

 

1. 도면에 가구위치를 표시안했다? ← 어디에 어떤 제품이 배치될지 생각을 안한 상태입니다. 집을 다 지은 후에 가구를 들여놀때 생각한대로 가구배치가 안될 확률이 높습니다.

 

2. 사용할 자재와 색상을 도면에 표기하지 않았다? ← 계약시 도면에 자재와 색상을 표기하지 않은 경우 저가자재로 시공을 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세부견적을 받지 않았다? ←역시 마찬가지로 저가재료로 시공을 할 가능성이 있고, 추가비용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4. 건축업체가 지은 집과 짓는 중인 집에 방문을 하지 않을 예정이다? ← 집에 품질을 복불복에 맞기는 거와 같습니다.

 

5. 건축계약을 서두르고 있다 ← 서두르면 놓치는 게 많아집니다. 여유를 갖고 천천히 공부를 한 후 계약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건축업체와 계약시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